사회복지창작소터가 마을활동을 시작한지 어느덧 2년이 지났습니다. 그 사이 구성원들 중 졸업생 비중이 늘어나면서 경제활동에 관한 책임과 마을공동체 활동의 열정 사이에서 고민하는 친구들이 생겨났습니다. 이 과정에서 지금까지 해 왔던 마을공동체 활동들이 자신들의일(직업)로 이어지고, 이렇게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행복할 수는 없을까를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. 그런데 터 청년들이 좋아하는 마을일이라는것은 소비와이익을 창출하는 컨텐츠가아니기때문에 그고민은 쉽사리 풀릴기미가보이지 않았습니다. 하지만 항상 현장에 스승이 있다! 우리의 고민을 여러 현장의 전문가와 단체들에게 털어놓고 함께 나누니 여러 지혜들이 모아지기 시작했습니다. 첫 번 째, 광주시 마을교육공동체 사업 공모(~2017.2.17) 사회복지 창작소 터 청년들이 그 동안의 공동체 경험을 마을의 청소년과 함께 나누는 프로젝트를 구상하게 되었습니다.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을 위한 학교 섭외부터, 사업계획서 작성도 직접 해냈고 큰 규모의(신규사업만도 40:1) 면접도 당당히 치뤄 냈습니다. 면접관님들께서 컨텐츠가 너무 좋아 많은 학교에 확산되었으면 한다고칭찬하셔서 결과가 무척 기대됩니다~~ 두 번 째, 첨단 1동 주민센터 주민회의, 청년의제 발표(2017.2.13) 청년-마을활동-일-행복/일과 삶이 융합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여 주민회의 자리를 통해 많은 이들과 머리를 맞대고자 하였습니다. 터 활동 소개, 청년마을활동가들의 고민, 상상제안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였고 그 결과 마을의 유휴공간을 활동처로 이용하고,일정의 활동비도 지원받을 수 있는 길이 생겨 더욱 신명나게 일을 할 수 있게 되었답니다. 터 청년들이 가진 기발함과 열정이 복지관의 정책적, 정서적 지원과 잘 어우러져 우리마을의예쁜희망을만들어낼수있도록 항상노력하겠습니다. 함께 관심 가져주시고 지켜 봐 주신 모든 분들, 감사합니다. |